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9

집중력을 올려주는 호르몬과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 10가지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노력을 하면서 저마다의 목표에 오르려 애쓴다.그리고는 신을 향해 불공평함을 울부짖는다. 누군가는 너무도 쉽게 조금의 노력만으로도 목표에 도달하는 것을 너무도 많이 보아왔기 때문이다.과연, 우리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일까? 아니면, 능력이 부족했던 것일까? 지금부터 그 원인을 집중력 있게 파헤쳐보고자 한다.집중력과 호르몬집중력과 관련된 호르몬집중력과 관련된 호르몬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 호르몬들은 각각의 방식으로 뇌 기능과 주의력을 조절한다. 1. 도파민도파민은 뇌의 보상 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기 부여와 집중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파민의 수치가 적절하게 유지되면 집중력이 향상되고, 부족하면 주의력 결핍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노르에피네프린이 호르몬.. 2024. 5. 27.
루시드 드림(자각몽) 연구사례를 통한 뇌과학적 원리: 위험에 빠지지 않는팁! 내 꿈을 내 맘대로 꿀 수 있다고?루시드 드림(자각몽)을 소재로 한 영화가 상영되면서부터 루시드 드림(자각몽)에 대한 관심도가 꾸준하게 증가한다.내가 꾸는 꿈을 내맘대로 조종할 수 있다는 건 정말 매력적인 일이 아닐 수가 없다.그래서 오늘은 과연 어떤 작용으로 인해 루시드 드림(자각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지 여러 연구 사례를 통해 뇌과학적인 원리는 무엇인지, 그리고 루시드 드림(자각몽)의 부작용은 없는 것인지 그 위험성과 위험에 빠지지 않는 방법은 없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루시드 드림(자각몽)이란 무엇일까?말 그대로 꿈을 꾸고 있는 상태를 자각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꿈의 흐름을 의식적으로 조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루시드 드림(자각몽)이 정말로 가능하다면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루.. 2024. 5. 23.
잠(수면)의 놀라운 효과: 숙면의 기적 부제: 우리가 잠든 사이 기적은 시작된다.  우리는 잠을 많이 잔다는 것을 게으름의 상징처럼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세상은 갈수록 바쁘게 돌아가고 잠자는 시간이 아까울 만큼 할 일도 많고 즐길 것도 많다.하지만, 우리가 잠든 사이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잠의 기적을 알고 나면 생각이 달라질지도 모른다.그렇다면, 우리가 잠든 사이 우리에게 어떤 기적이 펼쳐지는지 잠의 속으로 들어가 보기로 한다.  수면의 진행 단계와 수면의 효과: 잠의 기적들우리가 잠이 들면, 얕은 수면 단계의 렘수면과 깊은 수면 단계의 비 렘수면이 번갈아가며 잠을 자게 된다.렘수면 - 얕은 수면, 몸의 이완, 뇌의 활동(기억의 형성과 저장 등), 꿈을 꾸게 되는 단계, 빠른 안구 운동, 비렘수면 - 깊은 수면, 몸과 뇌의 휴식 상태(호흡과 .. 2024. 3. 30.
인간 육감의 비밀: 어디서 오는 걸까? 우리는 때때로 우리가 느끼는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영역을 넘어선 미지의 감각을 느끼기도 한다. 우리는 이것을 '예감'이나 '직감'이라 부르기도 하고, '육감'이라 부르기도 하며 사전에 아무런 물리적 단서 없이 어떤 사건이 발생할 것임을 느끼는 능력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런데, 물리적으로는 느껴지지 않는 이 '육감'은 대체 어디서 오는 걸까? 오늘은 이 질문에 대한 궁금증과 더불어 두정안과 송과체에 대해서도 알아보면서 육감의 비밀을 파헤쳐 보기로 한다. 두정안과 송과체 두정안 두정안은 일부 곤충이나 동물들에게 존재하는 제3의 눈이라고도 불리는 감각기관이다. 이는 주로 머리의 정수리 부근에 위치하며, 일반적인 눈과는 달리, 빛의 양을 감지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두정안은 시각적 이미지.. 2024. 3. 25.
아기 뇌의 놀라운 비밀: 왜 아기의 뇌 세포는 성인보다 많을까? 우리는 태어나 성장하면서 더 많은 것들을 경험하면서 뇌는 더 많은 일을 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뇌의 세포 수도 증가할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놀랍게도 성장하면서 세포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그렇다면 왜 아기 뇌 세포는 성인보다 많은 것일까? 아기의 뇌는 태어날 때부터 놀라운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아기의 뇌 세포 수가 성인의 뇌 세포 수보다 많다는 사실은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오랫동안 주목받아 온 주제이다. 이 글에서는 아기의 뇌 세포가 성인보다 많은 이유와 이 현상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아기의 뇌 세포의 특징 발달의 기회: 아기의 뇌는 성장하고 발달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뇌 세포를 생성한다. 이는 아기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학습하며, 기억하는 데.. 2024. 2. 29.
뇌 가소성: 젊어지는 뇌 만들기 5가지 방법 불과 십 여년 전만 해도 손상된 뇌는 회복되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로 여겨졌다. 그래서, 우리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뇌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제는 나이와 관계없이 뇌가 젊어지는 비밀이 밝혀졌다. 바로 뇌 가소성이라는 놀라운 능력이다. 오늘은 뇌의 나이를 거스르는 뇌의 비밀인 뇌 가소성에 대해 파헤쳐 보기로 한다. 뇌 가소성이란 무엇인가? 뇌 가소성(Neuroplasticity), 즉 신경 가소성이란, 쉽게 말해서 변형이 되어도 복원되는 현상이라할 수 있겠다. 뇌 가소성은 경험과 학습에 따라 뇌 구조와 기능이 변화하는 놀라운 능력인 것이다. 뇌 가소성의 두 가지 유형 첫 번째는 기능적 가소성(Functional Plasticity)으로 뇌의 일부가 손상되면 다른 부분이 그 .. 2024. 2. 29.
인공 지능(AI) 챗봇은 램프의 요정 지니가 될 수 있을까 대화형 인공 지능 챗봇의 등장은 상상만 하던 미래가 바로 눈앞에 다가온 것 같은 생각마저 들게 만들었다. 인공 지능이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만든다. 그리고 모르는 것을 물어보면 알려주기도 한다. 인공 지능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사람이 요구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마치 알라딘의 요술램프에 나오는 지니가 소원을 들어주는 것 처럼 말이다. 나는 확인을 해보기로 했다. 과연, 인공 지능이 '지니'가 되어줄 수 있을까? 문과 출신인 내가, 코딩에 대해 문외한인 내가 인공 지능에게 아이디어와 생각을 말하고 인공 지능에게 코딩을 하게하여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기로 한 것이다. 결과를 살짝 공개하자면, 프로그램은 만들어졌다.(완성이라 할 수는 없지만 말미에 링크를 남겨서 공개하도록 하겠다.) 하.. 2023. 10. 16.
AI(인공지능)가 메모장만으로 만든 크롬 확장 프로그램-'AI-created Text Styler' 우여곡절 끝에 AI(인공지능)와의 협업으로 크롬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확장 도구를 만들었다. 아직 완성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이 정도면 소개할 만큼의 기능은 갖춘 것 같아서 공개를 해본다. 이 프로그램을 만든 주인공은 다름아닌 AI(인공지능)이다. 문과 출신인 나의 관점으로는 메모장만으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다. 그럼 지금 부터 인공지능이 메모장만으로 만든 프로그램 'AI-created Text Styler'을 소개하겠다. AI-created Text Styler 설치하기 AI-created Text Styler Text Styler allows you to highlight letters easily and stylishly. chrome.google.com A.. 2023. 10. 16.